반응형
🎬 1. 아티스트 중심 분야
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
- 스케줄 조율, 일정 관리, 동선 체크, 해외 투어 수행 등
- 체력 & 위기대응력 & 커뮤니케이션 능력 필수
- 신입은 인턴이나 서포터즈로 시작하기도
✅ 스타일리스트 / 메이크업 / 헤어팀
- 예체능 전공자 또는 관련 자격증 필요
- 현장 실습과 도제식 경력이 중요
📋 2. 콘텐츠 기획·제작 분야
✅ 기획 PD (콘서트/앨범/굿즈/팬미팅)
- 콘셉트 개발, 제작 일정 조율, 예산관리
- 기획안 포트폴리오 & 프로젝트 경험 필수
✅ 영상 콘텐츠 제작 (M/V·버라이어티·티저 등)
- 연출, 촬영, 편집 가능자 (프리미어, 애프터이펙트 등)
- 아이돌 영상/커버 영상 제작 경험 어필 가능
✅ 음악 콘텐츠 기획
- 앨범 발매, 음원 유통, 작곡/작사/편곡 디렉팅
- 음악 전공 or 관련 경력자 선호
📢 3. 마케팅·팬덤 커뮤니케이션
✅ 콘텐츠 마케팅 / SNS 운영
- 트위터·인스타·틱톡 팬덤 대상 콘텐츠 제작
- 데이터 기반 성과 분석(임프레션·도달률 등) 역량 필요
✅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(팬소통/해외 홍보)
- 영어/일본어/중국어 필수 + 팬심 이해도
- 팬카페·팬페이지 운영 경험도 강점
✅ 브랜딩 & MD 기획
- 캐릭터 IP, 굿즈 개발, 브랜드 콜라보 기획
- 상품기획 능력, 트렌드 분석력 요구
🧑💻 4. IT·플랫폼 분야 (신흥 인기 분야!)
✅ 팬 플랫폼 운영 / UX 기획
- 위버스, 리슨, 버블 등 커뮤니티 플랫폼 관리
- 앱·웹 기획자 및 PM 유망
✅ 데이터 분석 / 콘텐츠 성과 리서치
- 팬 소비 패턴 분석, 유튜브·멜론·틱톡 통계 해석
- 통계학·마케팅 전공 or 관련 인턴 경험
✅ VFX·AR/VR 콘텐츠 개발
- 메타버스 콘서트, 3D 무대 구현 등 미래형 직무
- 디자인·컴공 복합 역량자 우대
🏢 5. 엔터회사 유형별 채용 포인트
회사 유형 특징 채용 방식
대형 기획사 (SM·JYP·HYBE 등) | 시스템화된 업무, 포지션별 전문성 | 서류 → 인턴 → 정규직 |
방송/콘텐츠 제작사 (CJ ENM·Mnet 등) | 다양한 콘텐츠 프로젝트 | 프로젝트 인턴·경력직 선호 |
플랫폼/IT 계열 (카카오엔터·네이버·넷마블 등) | 팬덤 기반 기술서비스 운영 | 개발·기획·데이터 중심 채용 |
✨ 진로 준비 TIP
✅ 내가 어떤 역할에 끌리는지부터 명확히 정리하기
✅ 단기 아르바이트·서포터즈·콘서트 스태프 등 경험부터 시작
✅ 포트폴리오: 영상, 기획서, 팬덤 커뮤니티 운영 경험 정리
✅ 채용 공고는 링크드인 / 사람인 / SM·JYP 등 공식 홈페이지 수시 확인
🧭 마무리: 나만의 포지션을 찾는 것이 시작이다
연예기획사는 단지 '연예인을 좋아해서' 들어가는 곳이 아닙니다.
내가 무슨 역할을 하며 이 산업을 더 멋지게 만들 수 있을까?
이 고민에서부터 진짜 취업 전략이 시작됩니다.
분야는 넓고, 가능성은 많습니다.
기획, 마케팅, 기술, 콘텐츠 제작… 여러분에게 맞는 길을 찾으시길 바랍니다!
📌 다음 글 예고
- 엔터 업계 자소서 작성법
- 직무별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
- 아티스트 매니저 실제 하루 일과
도움이 되셨다면 ‘좋아요’와 ‘공유’ 부탁드려요 😊
궁금한 분야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팅에 반영할게요!
원하시면 이 내용을 슬라이드용 발표자료나 SNS 카드뉴스 형태로도 제작해 드릴 수 있어요. 필요하신가요?
반응형
'진로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📊 2025년 국공립대학 학과별 취업률 TOP 20 (0) | 2025.07.07 |
---|---|
🇰🇷 대한민국 국공립대 전체 순위 2025년 최신 정리 (0) | 2025.07.07 |
🎬 연예기획사·엔터 업계 취업 전략 A to Z (2025년 최신판) (0) | 2025.07.07 |
🎓 2025 전국 대학 순위 TOP 100! (0) | 2025.07.07 |
[K-POP 연예기획사] 수시, 비실기, 내신3등급 (0) | 2025.07.04 |